컴퓨터/기타 13

Llama - 로컬에서 생성형 AI를 돌려보자 (GPT4ALL)

GPT를 사용할 때 모델은 MS의 데이터센터에 있고 해당 모델을 불러오는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나 로컬에서 생성형 AI를 돌리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사용을 해보려고 합니다. LlamaLlama(Large Language Model Meta AI)는 Meta에서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로 자연어 처리와 생성 작업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여러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각 버전 모델의 크기와 성능이 다릅니다. Llama 모델은 오픈소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7억 명이 넘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Meta와 협의 후 사용해야 합니다. Llama 3.1은 매개변수에 따라 8B, 70B, 405B로 세 가지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Llama ..

컴퓨터/기타 2024.08.27

Mybatis - INSERT SELECT에서 ORA-00933 에러

회사에서 업무를 하던 중 쿼리를 만들다 다소 신기한 방식으로 해결하였습니다.insert에서 update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에러가 해결되어 공유하려고 합니다. 한줄요약 : INSERT SELECT 구문에서 실행이 안 되는 경우 태그를 insert에서 update로 바꾸어보자 ORA-00933ORA-00933: SQL 명령어가 올바르게 종료되지 않았습니다해당 오류는 SQL 구문 작성 오류 시 문법 오류로 인한 것입니다. 오라클에서 필요한 명령어 쉼표, AND 등 명령어가 빠져 있거나 오타가 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Mybatis에서 발견한 오류IDE에서 쿼리로 작성 할 때 실행시 문제가 없었으나 Mybatis에서 쿼리를 동일한 쿼리를 실행할 때  ORA-00933에러가 계속 발생하였습니다. 아래와 같..

컴퓨터/기타 2024.05.29

WAS - 아파치(Apache)와 톰캣(Apache Tomcat)

이전에 게시글을 올리면서 WAS라는 개념이 전혀 없을 때 사수가 물어봤던 질문 한가지가 생각났었습니다. 아파치와 아파치 톰캣이 같나요? 당시 저는 두 개의 프로그램이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저와 같이 고민하는 초보 개발자분들을 위해 두 가지 개념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파치와 아파치 톰캣은 다릅니다. WEB Server와 WAS두 개가 다른 것을 먼저 설명하기 전에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개념이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입니다.Web Server는 정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고(정적 페이지), WAS는 동적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동적 페이지) 일반적으로 Web Server와 WAS는 같이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

컴퓨터/기타 2024.04.20

MyBatis - MyBatis에서 부등호를 처리하자

현재 직장에서 쿼리를 다룰 일이 많습니다. 한국에서 일하다 보니 백엔드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MyBatis를 통해 쿼리문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MyBatis는 XML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등호 입력 시 문법상의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오류코드 (예시 코드) SELECT EMP_NO FROM REGISTER WHERE JOIN_SEQ > 1000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XML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등호로 사용하는 연산자 기호는 MyBatis에서 태그로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합니다. 1. CDATA를 이용하기 SELECT EMP_NO FROM REGISTER WHERE JOIN_SEQ ]]>..

컴퓨터/기타 2024.02.10

WOL - 집에서 원격 부팅을 하자 (Wake On Lan)

최근에 컴퓨터를 맞췄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원격 환경은 구축을 해놓았으나 한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컴퓨터를 하루 종일 켜두면 전기료가 과다 청구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서버 컴퓨터 같은 경우는 하 루종일 켜두는 게 맞지만, 서버처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하여 조금씩 사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원격 부팅을 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WOL이란? WOL(Wake On Lan)은 패킷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PC를 부팅시키는 기술입니다. 컴퓨터의 MAC 주소를 사용하여 매직 패킷을 전송하고, 매직 패킷이 네트워크 카드에서 인식하면 컴퓨터가 깨어나는 방식입니다. 또한 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BIOS와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지원해야 합니다. 컴퓨터의 유선 LAN 카드..

컴퓨터/기타 2023.08.12

Excel - 전역일 계산기를 만들어보자

제가 군대에 있을 때 전산 보직으로서, 또 여러 가지를 만들기 위해 엑셀을 배웠습니다. 간단하게 전역일 계산기를 제작하였는데 만들었던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 만드는 방법을 소개시켜드리는 것뿐 제작으로 인한 피해는 본인에게 있습니다. ※ 제가 사용하는 작업 환경은 폴라리스 시트입니다. (그대로 진행하면 상관없어서 해당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한셀도 가능합니다) 제작하려고 하는 기능 요약 입영일,전역일,현재 날짜만 알면 아래의 기능을 자동으로 인식시킨다. 복무기간, 한날, 남은 날, 실근무일, 백분율(%) 백분율(%)을 인식하여 바의 형태로 제작한다. 제작 과정 1. 입영일, 전역일, 오늘 날짜를 적어둡니다. 오늘 날짜는 Today() 함수를 이용하여 적고 나머지는 자신의 입대일자와 전역일자..

컴퓨터/기타 2022.08.08

웹 브라우저 - 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왜 망하였는가?

최근에 경주 충효동에 있는 카페를 방문하였습니다. 카페 옥상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서비스 종료를 기념한 묘비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아래의 문구를 보았습니다. "He was a good tool to download other browsers" "그는 다른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하는 좋은 툴이었습니다." 어떠한 소프트웨어든 발전하지 않으면 더 발달한 프로그램들이 점유율을 가져갑니다. 이번에는 왜 익스플로러는 망하였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논설의 특징상 글에서 필자의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하면서 보면 감사합니다. 웹 브라우저란? 지금 인터넷에 접속해서 블로그에 써져있는 글을 보는 있는데 아마도 웹 브라우저를 사용 중입니다. 웹 브라우저는 HTML 문서와 그림, 파일..

컴퓨터/기타 2022.06.24

CMD -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찾아보자

CMD를 사용해서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공유기에 무차별적으로 값을 대입하여 와이파이를 뚫는 방식이 아닌, 이미 한번 뚫었던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까먹을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그동안 설명한 방법에 비하여 무척 간단해서 쉽게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하는 방법 요약 netsh wlan show profiles #그동안 접속했었던 와이파이의 이름이 나온다. netsh wlan show profiles Key=clear 사용방법 1. CMD를 켠다 2.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 뒤 대상이 되는 와이파이의 이름을 찾는다. netsh wlan show profiles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제..

컴퓨터/기타 2022.06.20

WSL2 -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돌려보자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윈도우 환경이 정말 편합니다. 하지만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윈도우가 한편으로는 좋지만 한편으로는 어렵습니다. CMD가 강력한 무기임에는 틀림없지만 터미널만큼의 힘을 발휘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윈도우에 엄청난 친구가 있어 앞으로를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바로 WSL입니다. WSL이란? WSL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의 약자로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하위채널로 돌리는 기술을 말합니다. 아직까지 완벽하게 리눅스를 대체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인 리눅스의 편리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개발자의 입장으로 리눅스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있고 그런 경우 편리하게 돌아갑니다. 설치방법 설치방법은 ms공식사이트을 이용하고 제스타일로 적었습니다. 이해가 안되면 ..

컴퓨터/기타 2022.03.18

크롬 원격 데스크톱 - 원격을 사용하여 어디든지 사용하자

예전에 네트워크 장비들을 운영하고 유지 보수하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네트워크를 다루는 다양한 기술들도 보았습니다만 가장 좋다고 느끼는 기술은 원격 데스크톱입니다. 실제로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려면 포트포워딩이라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번에는 컴퓨터 초보자분들도 쉽게 다룰만한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크롬 원격 데스크톱 사용한 이유 아까 위에서 이야기를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원격 데스크톱을 하려면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회사 등의 환경에서는 메인 PC의 환경이 잘 안 바뀌기 때문에 필요가 없으나 환경이 자주바뀌는 경우에는 다시 설정하고 반복해야 합니다. 자취하는 학생으로 집이 자주 바뀌는 만큼 간단한 설정으로 충분한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 좋다..

컴퓨터/기타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