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컴퓨터 관련 지식 10

무선통신 - 2.4GHz / 5GHz 대역이 면허 없이 사용 가능한 이유

최근 집에서 보일러가 꺼지거나 전자레인지가 사용할 때 TV 신호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인터넷을 찾아보던 중 자유 주파수 대역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습니다. ISM 대역우선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산업, 과학, 의료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 대역을 ISM 대역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이를 ISM 대역(Industry-Science-Medical Band)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할당을 위해서는 특정 사업자가 주파수 면허를 발급받아야 하지만, ISM 대역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용 가능한 ISM 대역대한민국에서 허용된 ISM 대역은 국제기준과 거의 동일하나, 일부 대역폭(433MHz, 902MHz) 대역폭은 지정되어 있지 않..

알고리즘 -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

알고리즘에 관하여 공부하다 보면 효율성을 계산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짜야지 속도가 더 빠른가 이런 부분으로 계산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방법인 빅오 표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 빅오 표기법(Big-O notation)출처 : https://www.amazon.com빅오(Big-O)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나 공간 복잡도를 표현할 때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최악의 경우 성능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이 얼마나 많은 시간 혹은 메모리를 사용할지를 나타냅니다. 빅오 표기법을 통하여 효율성을 비교하고 알고리즘의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 알고리즘의 입력에 따른 작업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공간 복잡도(Space..

Morse Code - 모스 부호에 대하여 알아보자

시작하기 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최근에 지인이 아마추어 무선기사라는 자격증을 땄습니다. 자격증을 찾아보던 중 모스 부호에 대해 흥미가 생겼습니다. 이전에 제가 해당 게시글을 작성할 때 꼭 광고를 첨부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영상은 어릴 때 인상깊게 본 K5 런칭 광고입니다. Morse Code Morse Code는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Samuel Finley Breese Morse)가 고안하여 만든 전신 기호로, 짧은 발신 전류와 긴 발신 전류로 전신부호를 구성한 뒤 전신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가집니다. 짧은 발신 전류를 점( · ), 긴 발신 전류를( ― )로 구분하여 표기합니다. 한국에서는 돈( · ), 쓰( ― )로 부르는데 일본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아마추어 ..

정보경영 - ERP란 무엇인가?

제가 처음에 하고 싶어 했던 IT 직렬이 ERP 개발자였습니다. 이번에 친구가 해당 개념을 물어봐서 단어의 뜻과 비슷한 개념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처음에는 컴퓨터 게시글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유사한 개념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작성하려고 합니다. ERP란 무엇인가 ERP는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자로 전사적인 관점으로 조직의 인사, 회계, 구매, 프로젝트 관리 같은 통합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통합정보시스템입니다. ERP를 활용하면 비즈니스의 다양한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수 많은 보고서를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부서간의 정보시스템이 다를 때 일어나는 비효율성이 줄어들고 궁극적으로는 회사의 자원 관리를 더..

파일포맷 - XML과 JSON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전에, 블로그에 XMLHttpRequest 객체에 대하여 작성한 적이 있었습니다. XML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받았습니다. XML만큼 전송에서 많이 쓰는 JSON 파일도 있습니다. 두 가지 문법과 방식에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Kim Narae Lee/firstName> Ujin Kim Daewu XML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HTML의 문법과 매우 비슷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과 차이점은 XML태그는 HTML태그와 같이 미리 정의 되어있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좋은 확장성을 보입니다. 데이터를 보여주는 목적이 아닌 데..

임베디드 - 아두이노(MCU) vs 라즈베리파이(MPU)

언젠가는 꼭 써보고 싶었던 특집인데 그동안 밀어두다가 적게 되었습니다. 임베디드에서 교육용으로 보통 아두이노(ATmega128) 혹은 라즈베리파이(ARM)를 많이 사용합니다. 임베디드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엄연하게 사용하는 역할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각각의 차이점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시작하기 앞서서 스포 하자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운영체제를 사용할수 있는 유무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아두이노 VS 라즈베리파이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의 차이점은 운영체제를 돌릴수 있는 것의 차이입니다. 아두이노 같은 경우에는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업로드하면 직접 핀을 제어합니다. 하지만 라즈베리파이 같은 경우에는 운영체제 안에서 직접 프로그래..

RAID - 저장장치를 여러 개 사용하자 (RAID의 종류와 구성방식)

개요 졸업 후 NAS서버를 구축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NAS서버에서 다양하게 하드디스크 방법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것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레이드(RAID)란?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의 약자로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입니다. 저장장치를 여러 개를 사용하여 더 큰 용량들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레이드 기술은 더 큰 용량들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용합니다. 레이드(RAID)의 종류 다양한 레이드의 종류가 있으나 많이 사용하는 것 위주로 설명하려고 합니다. RAID 0 (Striping) 레이드 0은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를 병렬로 이어서 한개의 거대한 디스크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의 입출력이 공평하게 분배되며 이로 인하여 입출력 속도..

개발용어 - 라이브러리(Library) vs 프레임워크(Framework)

이번에는 개발을 하시는 분들이 차이를 햇갈려하는 개념인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두가지 개념이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있기 때문에 각각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라이브러리 (Library) 라이브러리는 도서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컴퓨터에서의 정의는 프로그램의 공통으로 사용하는 함수 or 도구들의 집합입니다. 프로그램 개발을 보다 편리하게 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맨주먹으로도 개발할수 있으나 도구들을 이용하여 훨씬 다채롭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ex) JQuary(Javascript), Numpy(Python), DirectX(C++) 프레임워크 (Framework) 프레임워크는 뼈대, 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

이미지 - 비트맵(Bitmap)과 백터(Vector)

개요 우리가 인터넷에서 여러 가지 사진자료들을 볼 때 여러 가지 확장자가 있습니다. (jpg, png, psd, ai, svg 등) 하지만 사진에도 여러 가지 타입이 있는 거 아시나요? 확장자마다 압축 포맷이나 방법은 다르지만, 성질로 보자면 크게 두 가지 포맷(비트맵, 벡터)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맵 VS 백터 우선 우리가 대부분 쓰는 확장자는 비트맵입니다. 주로 우리가 사진을 찍거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파일들을 가지고 올 때 대부분의 파일들이 비트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비트맵은 사각형의 픽셀(pixel)이 모여있는 이미지 포맷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사진의 크기가 큰경우 많은 픽셀을 활용하여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리한 확대를 하면 병목현상, 계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진..

저작권 -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하여 알아보자

사람들이 처음부터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면 저작권에 걸릴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소스코드는 점점 복잡하게 변해가고 있고 처음부터 개발한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개발합니다. 이번에는 소프트웨어 저작권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참고: 저작권 중 일부를 알아보는 시간이며 제시한 저작권뿐만이 아니라 저작권의 종류는 엄청 많습니다. MIT License (MIT 라이선스) MIT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자기 학교에 공학도들을 돕기 위해 개발하였다. 수정, 배포, 2차 라이선스, 상업적 이용을 모두 조건없이 허락하고 있다. 소스코드 공개 의무가 없다. 동일 라이선스로 배포를 강제하지 않는다. 보증 책임이 없다. MIT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