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Linux 7

Linux (7) - 파일을 실행하고 종료하는 방법

그동안 콘솔로 작업을 하는 경우에 파일을 실행시키거나 여러 개의 업무가 있는 경우에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상관이 없었으나 큰 파일을 작업하는 등 작업에서 자주 실행 중간에 끊깁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리눅스 프로그램 실행./example.sh./example.sh A우선 일반적으로 자신의 위치에서 파일명을 입력하면 실행됩니다. argument가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에 추가하면됩니다.  백그라운드 실행./example.sh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직접 간섭하지 않아도 뒤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로그 처리, 시스템 모니터링 스케줄링 등 다양한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프..

컴퓨터/Linux 2024.09.01

Linux (6) - CLI 환경을 GUI 환경으로 만들어보자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에서는 보통 GUI 환경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서버용으로 생성할 때 CLI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GUI 환경을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 게시글은 우분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CLI, GUI 위 화면을 보면 한 번에 이해가 될 것 입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는 명령어 인터페이스 환경입니다. 터미널을 통해 user와 컴퓨터가 명령어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입니다. 명령어를 통해 전개되는 만큼 작업 난이도가 있지만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작성하여 반복 작업 및 자동화하기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또한 메모리를 적게 소비하며 원격으로 사용하기 효과적입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

컴퓨터/Linux 2024.01.17

Linux (5) - 커맨드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세팅하자 (ifconfig)

최근에 프로젝트를 하다가 CLI 환경에서 이더넷을 세팅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해당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수정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etc/network/interfaces를 다루면 되지만 이번에는 ifconfig 명령어로 할 수 있는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하기 ifconfig #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ifconfig –a #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까지 확인 ifconfig eth0 # eth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해당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있는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부 값을 가린 이유는 IP 등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가렸습니다. 또한 해당 명령어를 통해 출력되는 각각의..

컴퓨터/Linux 2023.12.14

Linux (4) - 리눅스로 파일 찾기, 파일 속 문자 찾기 (find, grep)

리눅스에서 다루는 파일이 많아지다 보면 특정한 파일, 혹은 파일 안에 내용이 필요 할때가 있습니다. 또는 exec와의 연계를 통하여 검색한 프로그램 자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리눅스로 파일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ind find는 파일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find [경로] -name "파일명" find ./* -name "*sample*" find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name : 주어진 이름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습니다. -type : 지정한 파일 타입을 찾습니다. (d:디렉터리, f:파일, l:링크, p:파이프, s:소켓) -exec : find로 파일을 찾고 해당 파일과 연계하여 명령을 수행합니다. -ls : ls -l가 동일하게 리스트를 출력한다...

컴퓨터/Linux 2023.10.23

Linux (3) - Linux, Apache, MySQL, PHP 구축하기 (LAMP)

요즘은 웹서버를 구성할 때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개인 블로그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LAMP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AMP LAMP란 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MySQL, PHP를 통합으로 설치하는 스택입니다. 4가지 소프트웨어는 전부다 오픈소스이므로 유지 보수가 쉽고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Linux - 운영체제 Apache - 웹 서버 MySQL - 데이터베이스 서버 PHP - 프로그래밍 언어 설치 방법 ※기본환경은 Ubuntu 22.04버전으로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1. Ubuntu 패키지 최신화 sudo apt update #등록된 저장소 안에 최신 패키지로 업데이트 sudo apt upgrade #최신 패키지를 시..

컴퓨터/Linux 2023.01.11

Linux (2) - 터미널로 압축 및 압축해제 하기

리눅스도 GUI 화면에서는 오른쪽 클릭을 통하여 쉽게 압축 해제를 할 수 있습니다. CLI화면에서도 명령어를 입력하여 쉽게 압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것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tar 확장자 & gz확장자란? 보통은 zip, rar등의 압축 파일 포맷은 많이 봤어도 tar 확장자는 처음 봤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압축을 전혀 하지 않으며, 그저 파일을 하나로 묶습니다. 유닉스 계통에서 많이 쓰는 파일 포맷이라서 리눅스에서는 자주 보입니다. gz확장자는 gzip으로 보통 tar확장자를 통하여 파일을 하나로 만들고 gz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압축을 통하여 용량을 줄입니다. 리눅스 명령어로 압축 및 압축 해제 하기 1. 파일들을 묶어서 tar 파일 만들기/해제 t..

컴퓨터/Linux 2022.06.05

Linux (1) - SSH 접근시 환영하는 문구를 바꾸어 보자

최근에 학교에서 라즈베리파이를 배우고 있습니다. 와이파이를 켜고 VNC에 킬 때 여러 사람들이 같이 들어가서 누구의 라즈베리파이인가 모르는 상황이 발생했었습니다. 물론 ID와 비밀번호를 바꾸면 해결되는데 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원격 접속을 할 때 문구를 출력하여 제 것을 나타내 보려고 합니다. (보안상 가장 좋은 것은 ID와 비밀번호를 바꾸는 것입니다. ※ 리눅스의 특징상 조금 방법이 다를수 있습니다. 데비안 리눅스 사용 중입니다. 1. 아래의 명령어를 쳐서 파일에 접근한다 sudo nano /etc/ssh/sshd_config 2. sshd_config의 파일 중 다음 부분에 #을 제거한다. #부분을 제거하면 활성화됩니다. 옆에는 경로를 적었습니다. 3. 접속 문구를 수정한다. sudo nano /e..

컴퓨터/Linux 20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