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6

임베디드 - 아두이노(MCU) vs 라즈베리파이(MPU)

언젠가는 꼭 써보고 싶었던 특집인데 그동안 밀어두다가 적게 되었습니다. 임베디드에서 교육용으로 보통 아두이노(ATmega128) 혹은 라즈베리파이(ARM)를 많이 사용합니다. 임베디드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엄연하게 사용하는 역할이 다릅니다. 이번에는 각각의 차이점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시작하기 앞서서 스포 하자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운영체제를 사용할수 있는 유무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아두이노 VS 라즈베리파이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의 차이점은 운영체제를 돌릴수 있는 것의 차이입니다. 아두이노 같은 경우에는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업로드하면 직접 핀을 제어합니다. 하지만 라즈베리파이 같은 경우에는 운영체제 안에서 직접 프로그래..

라즈베리파이 (5) -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터럽트를 구성하자

우리가 어플 같은 것을 사용할 때 버튼을 누르면 이벤트를 발생합니다. 이 버튼이 while문안에 다 들어가서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시간은 흐르는데 메모리등 많은 것을 손해보게됩니다. 이럴 때 우리는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버튼을 누른 경우 처리합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인터럽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럽트란? 인터럽트라는 영어단어(interrupt)에는 '중단시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장치에 예외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할 때 기존의 프로그램을 중단시키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다른 것을 먼저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인터럽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를 제어하려고 할 때에는 항상 대기하는 방식으로 구성을 해야 하므로 성능의 손해가 발생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

라즈베리파이 (4) - GPIO는 무엇인가?

이전 편에서는 GPIO를 다운로드하였습니다. 이제 GPIO를 이용하여 LED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PIO는 무엇인가? GPIO는 Gereral Purpose input/output의 약자로 다용도 입출력을 의미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CPU에서 외부에 있는 핀을 사용하기 위하여 통하는 IO 신호입니다. 개발자가 어떻게 제품을 만드는가에 대하여 Input/ Output이 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GPIO 사용방법 ※저는 C언어를 기준으로 해당 설명을 구성하였습니다. 1) Pin의 Mode를 GPIO로 설정하여야 합니다. wiringPiSetupGpio(); wiringPiSetupGpio()라는 함수를 통하여 GPIO로 사용할 것이다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2) GPIO로 설정한 경우에는..

라즈베리파이 (3) - Raspberry Pi에 GPIO 설치하기 (WiringPi)

라즈베리파이의 진정한 기능은 GPIO 핀을 통하여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점입니다. 이번에는 wiringPi를 통하여 GPIO를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WiringPi라이브러리의 사이트는 아래에 첨부합니다. (꼭 한번 읽어보세요.) http://wiringpi.com/ WiringPi WiringPi is a PIN based GPIO access library written in C for the BCM2835, BCM2836 and BCM2837 SoC devices used in all Raspberry Pi. versions. The source code is not publicly available but may be made available to those who wish c..

라즈베리파이 (2) - fcitx를 이용한 한글 설치 및 적용

접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고 이제부터는 한글을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에 커맨드를 치는 것이 대부분이라서 금방금방 할수 있습니다. 먼저 한글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sudo apt-get install fcitx –y sudo apt-get install fcitx-hangul –y sudo reboot 첫줄부터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업데이트할 것들을 가져온다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폰트를 다운받는다 fcitx 입력 패키지를 다운한다. fcitx 중 한글을 다운한다 재부팅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리부팅을 해야합니다. 리부팅후..

라즈베리파이 (1) - 노트북으로 원격 접속을 해보자

대학교 수업시간에 라즈베리파이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수업 중 '마법의 버튼'을 눌러서 다시 다운로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ㅠㅠ) 그래서 이참에 블로그에 업로드하며 정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먼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원격 접속을 시키려고 합니다. ※ 제가 사용하는 환경은 라즈베리파이와 노트북 한대로 원격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참고로 마법의 버튼은 sudo rm rf/* 입니다. SSH를 이용하여 Cli 환경에 접근하기 라즈베리파이를 설치 후 직접 연결해서 이용할 수 있지만 모니터가 없기 때문에 SD카드 파일을 만져야 합니다. 1. os설치가 완료된 sd카드에 SSH파일을 생성합니다. ※ 저는 라즈베리파이 22.01.28 빌드로 사용하였습니다. ※ SSH.txt 파일이 아니라 SSH파일입니다.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