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방방곡곡 여행기

시내버스 여행기 - 이천~김천 시내버스 국토종주 실패기

달서비 2024. 7. 31. 12:04

직장에서 방학이 되었고 힐링하면서 주변 경치를 둘러보고 싶어 시내버스만으로 여행을 갔다 왔습니다. 현재 저는 이천에서 거주 중이며 이에 따라 이천에서 출발하려고 합니다.
 

버스노선 요약

출발일시 : 2024년 7월 28일 (일)

노선 경로 탑승시간 도착시간
용인 103 마장면사무소 - 지산리조트 입구 경희마트 06:33  06:42
용인 101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백암터미널 07:55 08:07
용인 10-1 백암터미널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08:20 08:50
안성 37 죽산시외버스터미널 - 죽산삼거리 08:55 08:58
안성 17 죽산삼거리 - 광혜원 09:44 10:00
진천 790(농어촌) 광혜원 공영버스터미널 - 진천군청 10:28  10:57
청주 711 신양4차 - 청주성모병원 11:17 11:59
청주 712 청주성모병원 - 분평우체국 12:06 12:38
도보 (1.2km) 12:38 12:50
청주 211 강변뜨란채아파트 - 미원우체국 13:14 13:58
보은 110(농어촌) 새마을금고 - 중앙사거리 14:37
(14:40)
15:11
보은 410(농어촌) 중앙사거리 - 청산버스터미널 15:56
(16:00)
16:35
옥천 510(농어촌) 청산버스터미널 - 영동역 16:58
(17:05)
17:42
영동 640(농어촌) 영동역 - 황간역 17:52 18:14
영동 624(농어촌) 황간버스정류장 - 매곡 18:39 18:47
임산 11-8 노천리 - 김천역 19:51 20:34

 

버스 여행기

여행 당시의 시간 정보는 버스 노선 요약에서 정리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스토리 위주로 기술하려고 합니다.

용인 버스 103번

용인 103번
경로 : 마장면사무소 - 지산리조트입구 경희마트
탑승 시간 : 06:33
하차 시간 : 06:42

사실 여행 계획은 처음부터 꼬였습니다. 원래는 백암까지 걸어간 다음에 10-1 첫차를 타려고 했는데 마장면 근방에서 화장실이 급해서 청강대 쪽을 우회하기로 했습니다.

근처에 쉬었던 무인카페 - 클로버 다방

청강대가 서브컬쳐로 유명한 대학이라 이런 것들이 많습니다. 돌아보면서 1시간 정도를 보냈습니다.

용인 버스 101번

용인 101번
경로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백암터미널
탑승 시간 : 07:55
하차 시간 : 08:07

청강대 쪽에서 백암으로 가는 버스에 탑승하였습니다. 백암순대가 유명한 백암 맞습니다.

용인 버스 10-1

용인 10-1번
경로 : 백암터미널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탑승 시간 : 07:55
하차 시간 : 08:07

백암에서 죽산으로 가는 버스는 20분~25분에 한 대로 버스가 자주 있습니다. 내려서 조금 기다린 후 탑승하였습니다.

안성 버스 37

안성 37번
경로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 죽산삼거리
탑승 시간 : 08:55
하차 시간 : 08:58

죽산터미널에서 안성 17번으로 타고 광혜원으로 가야 합니다. 해당 버스가 직전에 출발한 것처럼 보여 바로 뛰어갔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록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기다렸다가 다음 버스에 탑승하였습니다.

안성 버스 17

안성 17번
경로 : 죽산삼거리 - 광혜원
탑승시간 : 09:44
하차시간 : 10:00

해당 노선은 청주 쪽을 방문하기 위해 꼭 필요한 노선입니다. 버스 주기가 70분에 한 대 정도로 해당 버스를 놓치면 시내버스 종주는 실패했다고 봐야 합니다. 해당 버스를 탈 때 부터 목표를 대구로 변경하였습니다.

진천 버스 790

진천 790번 (농어촌)
경로 : 광혜원공영버스터미널 - 진천군청
탑승 시간 : 10:28
하차 시간 : 10:57

제가 처음 알았던 개념 중 하나는 농어촌 버스라는 개념입니다. 국토 종주를 하기 위해 농어촌 버스부터는 버스 번호가 중요한 것 보다 목적지를 따라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목적지로 갈 수도 있으니 꼭 타기 전 기사님에게 여쭤보도록 합시다. 또한 내릴 때 환승 찍 는게 없습니다. 해당 부분 참조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청주로 들어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조금 걸었습니다.. 200m 정도밖에 안됩니다.

여담으로 사진을 찍는데 LED 전력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에 눈은 속일 정도로 led를 깜빡깜빡하는 것 같습니다. 사진으로는 번호가 잘 담기지는 않았습니다.

 

청주 버스 711

청주 711번
경로 : 신양4차 - 청주성모병원
탑승 시간 : 11:17
하차 시간 : 11:59

여기서 원래라면 211을 타야하는데 버스를 잘 못 탔습니다. 그대로 잠을 들었습니다.

청주 버스 712

청주 712번
경로 :청주성모병원 - 분평우체국
탑승시간 : 12:06
하차시간 : 12:38

제 결정적 패착이라고 생각하는 버스를 잘못 탄 것입니다. 가는 일부 노선은 같으나 중간에 아파트 쪽으로 가는 것을 늦게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버스 한 대를 놓친 효과를 입었습니다. (약 30분)

 

도보 1.2km

분평 우체국에서 강변 뜨란채 아파트까지 1.2km 정도 도보를 하고 다음 여정을 준비하였습니다.

청주 버스 211

청주 211번
경로 : 강변뜨란채아파트 - 미원우체국
탑승 시간 : 13:14
하차 시간 : 13:58

본격적으로 청주 도심을 벗어나는 버스입니다. 해당 버스를 타고 본격적인 농어촌 버스에 탑승하였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해당 위치부터는 어느 정도 배차간격이 있기 때문에 도착 후 점심을 먹었습니다. (편의점)

 

보은 버스 110

보은 110(농어촌)
경로 : 새마을금고 - 중앙사거리
탑승 시간 : 14:37(14:40)
하차 시간 :15:11

해당 버스는 보은 시내로 가는 버스입니다.

보은 버스 410

보은 410(농어촌)
경로 : 중앙사거리 - 청산버스터미널
탑승 시간 :15:56(16:00)
하차 시간 :16:35

보은 410번 버스로 옥천을 가고 그 후에 옥천 510번 버스를 타면 영동역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옥천 버스 510

옥천 510(농어촌)
경로 : 청산버스터미널 - 영동역
탑승 시간 :16:58(17:05)
하차 시간 :17:42

영동역을 도착하고당황 하였습니다. 추풍령으로 가는 마지막 차는 17:20분이기 때문에 추풍령으로 경유 할 수 없습니다. 일단 어떻게든 방법을 찾기 위해 황간까지 갔습니다. (여기서 플랜이 박살났습니다.)

영동 버스 640

영동 640(농어촌)
경로 :영동역 - 황간역

탑승 시간 : 17:52
하차 시간 : 18:14

근처에서 저녁을 먹고 정보를 찾던 중 김천까지는 어떻게든 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주변에서 놀다가 매곡까지 가서 김천까지 가려고 하였습니다. 여담으로 매곡까지는 대부분 영동 농어촌 버스가 다닙니다. (매곡면 경유)

황간역 주변

황간역 쪽을 나중에 무궁화로 여행을 간다면 한번 방문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동네가 이뻤습니다.

 

영동 버스624

영동 624(농어촌)
경로 : 황간버스정류장 - 매곡
탑승시간 : 18:39
하차시간 : 18:47

매곡면에서 조금 놀다가 배터리가 꺼졌습니다. 

매곡면 주변

역시 저녁의 경치는 항상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김천을 가는 11-8 버스는 매곡 주유소에서 타야합니다. 해당 버스를 타고 김천역으로 갈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출발전 배터리는 한계를 다했습니다.

버스 사진이 없어 김천역 사진으로 대체

임산 11-8
경로 : 노천리 - 김천역
탑승시간 : 19:51
하차시간 : 20:34

어떻게든 머리만 쓰면 대구까지 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성주, 구미, 칠곡 쪽 시간표가 좋지 않아 김천에서 마무리하였습니다.

 

남은 거리는 무궁화호를 타고 이동하였습니다.

그렇게 제 시내버스만으로 가는 여행기는 당일치기로 가려고 하였고 실패하였습니다.

 

실패 원인

제가 실패한 원인를 기술하려고 합니다.

 

1. 백암을 경유하는 시도 자체가 잘못 되었다.

안성 17번을 타고 광혜원을 간다고 한다면 7시 이전에는 죽산터미널에 내려야 합니다.

용인 101번의 첫차는 7시 55분으로 물리적인 시간으로 갈 수 없습니다.

이천 시내쪽에서 8203을 타고 출발한다면 죽산 터미널에 평균적으로 7시 5분경에 도착 하기 때문에 일찍 도착하는 경우 최대 100분 정도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됩니다. 

 

2. 청주 712번 버스를 잘못 탄 것

추풍령 막차는 17:20분인데 여기서 50분 정도 가질 못하여 추풍령을 가지 못한 것이 결정적인 실수였습니다. 

보은 110번은 평균적으로 1시간에 한 대 오기 때문에 버스만 제대로 탔으면 이전 열차를 탈 수 있었고 추풍령까지 충분히 갈 수 있습니다.

 

3. 일요일날 출발한 것

이게 가장 결정적이었는데 일반적으로 일요일은 평균적으로 80% 정도로 버스 노선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에 따라 대기시간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전거 여행 때처럼 큰 길이 정해져 있고 제가 움직이는 것이 아닌 버스에 종속돼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에는 좀 더  많은 조사를 하고 출발지를 정하면 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중에 다른 루트를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고 게시글

https://gall.dcinside.com/mini/board/view/?id=bustrip&no=6483

 

서울(연천)-부산 일주 후기 - 시내버스 여행 미니 갤러리

집에서 전철+직행 대체버스로 이동했고원래 그냥 신탄리역에서 출발하려 했는데 이왕 온거 대체버스 다시 한번 타고 내려가더라도백마고지역 한번 보고 신탄리역까지 가기로 함내려갈때도 당

gall.dcinsid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