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 (클릭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여행경과 |
광나루 자전거공원→ 여의도 서울마리나 |
여의도 서울마리나→아라 한강갑문 |
아라한강갑문 → 아라서해갑문 |
돌아가는길 |
선유도공원 |
노을(핵심★) |
마지막으로 |
여행경과
날짜 | 코스 | 거리 |
20.09.15 | 서울 자택 → 경기도 여주 강천보 | 88.5km |
20.09.16 | 경기도 여주 → 충청북도 충주 수안보온천 | 112km |
20.09.17 | 충청북도 충주 → 경상북도 의성 낙단보 | 100km |
20.09.18 | 경상북도 의성 → 대구 강정고령보 | 80km |
20.09.19-20 (철야) | 대구 → 부산 낙동강하굿둑 | 206km |
20.10.17 | 서울 자택 → 인천 아라서해갑문 (왕복) | 118km |
* 코스 간의 거리는 자전거 행복 나눔 홈페이지의 거리를 참조하여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마지막 거리 → 숙소의 거리는 네이버 지도의 거리 설명을 참조하였습니다.
부산을 갔다 왔으니 이제 인천을 가서 마무리해야겠죠?
광나루 자전거공원→ 여의도 서울 마리나
서울 구간은 길 자체가 어려운 길은 많이 없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다른 자전거도로와 달리 자전거가 많기 때문에 안전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그나마 어려운 구간이라면 인천 쪽 전환 구간 정도밖에 없습니다
광나루 인증센터의 위치가 집 쪽 하고 가깝습니다. 그래서 우선 인증으로 자전거 여행을 시작합니다
세빛둥둥섬을 어릴 때 건설 중인 현장을 보았는데 막상 완공 모습을 보니까 잘 졌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당 구간까지는 사람들이 아침이라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하지만 여의도를 기점으로 사람들이 많이 다니기 시작하였습니다. 서울은 특히나 따릉이라는 자전거 대여 시스템과 라임이라는 전동 킥보드 대여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자전거가 엄청 많습니다.
여의도 서울 마리나→아라 한강갑문
해당 구간에는 찍고 싶었으나 자전거가 너무 많아 멈출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사진을 많이 못 찍었습니다.
해당 사진은 돌아가는 길에 찍었는데 여기에 올리는 게 맞다고 생각이 들어서 여기에 두었습니다.
아라한강갑문 → 아라서해갑문
해당 구간에서 조심할 부분은 한강갑문에서 아라뱃길에 들어갈 때 도로를 조금 도로를 타야 하는데 조심하면 됩니다 해당 구간에서는 길을 새로 만들었고 한강처럼 잘 꾸며놓았습니다.
참고로 아라뱃길은 한강과 인천 바다를 이어주는 운하입니다.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끝까지 갔습니다. 그냥 "하고 싶다"라는 재미로 시작한 것이었는데 결국은 끝까지 갔습니다. 이렇게라도 하니 기분이 좋더라고요 ㅎㅎ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카운터 보시는 분은 따로 없고 이렇게 인증수첩 수거함만 있습니다. 인증수첩을 잠깐 맡기고 집까지 자전거 타고 돌아가기로 했습니다.
돌아가는 길
돌아가는 길 자체는 이전 코스하고 같기 때문에 따로 지도 사진은 올려두지 않으려고 합니다. 갈 때는 해당 길을 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오는 길은 천천히 가고 싶었던 곳들을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그것과 동시에 무릎 통증도 올라왔습니다 ㅎㅎ
선유도공원
아까 위에서 무릎 통증이 있었는데 휴식 겸 과거의 추억을 구경하며 선유도공원으로 돌아다녔습니다. 선유도공원은 친구 및 연인들과 산책하기에 여러 가지 잘 꾸며놓았습니다. 돌아다니다 보면 뮤비 및 인물 촬영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습니다. 지금은 외부만 구경할 수 있는 것이 아쉽지만 내부가 더 아름다운 곳입니다.
※영등포구 양평2동 및 당산동
오는 길은 전체적으로 전체적으로 눈부신 햇살과 그리고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노을(핵심★)
해당 지도에는 스타벅스 서울 웨이브 아트센터점을 위치하였습니다. 아래 나오는 사진은 새빛 섬부터 스타벅스까지 과정에서 찍었습니다. 해당 지점에서 노을을 본 게 볼거리가 많은 곳이라 다행이었습니다. 만약에 여의도 쪽이었으면 또 어떤 멋진 사진이 나올지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가고 싶습니다.
*서초구 반포동 및 잠원동
서울은 야경이 아름다운 도시입니다. 부산에서도 아름다운 야경이 저를 반겨주었지만, 서울의 야경도 만만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빛이 많은 도시입니다. 여기서 몇몇 다리를 더 넘어 자택으로 도착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국토종주의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자전거 여행을 하며 몰랐던 위치들을 깊게 알아갔습니다. 그저 지나가는 지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내가 밟은 땅이라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서울로 이동이 많이 지는 요즘, 지방도 괜찮은 곳이 많고, 내가 열심히 하여 좋은 곳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자전거 국토종주를 준비하거나 자전거를 좋아하시는 분들 꼭 한 번쯤은 갔다 올만한 프로젝트가 국토종주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더욱더 색다른 이야기로 준비하겠습니다 ㅎㅎ
'여행 > 자전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배와 함께한 낙동강종주 실패기 - 마지막 (회룡포 → 대구) (2) | 2022.01.08 |
---|---|
후배와 함께한 낙동강종주 실패기 - 1일차 (안동 → 회룡포) (0) | 2022.01.03 |
자전거 국토종주 - 5일차 (강정고령보 → 낙동강 하굿둑) (0) | 2021.02.13 |
자전거 국토종주 - 4일차 (낙단보 → 강정고령보) (0) | 2021.02.07 |
자전거 국토종주 - 3일차 (수안보 온천 → 낙단보) (0) | 2021.02.03 |